최근 가상 메모리(페이지 파일)를 SSD에 31GB 정도 설정한 후 다시 자동 할당으로 변경한 뒤 부팅 불가 & BIOS에서 SSD 미인식 문제가 발생한 상황입니다. 현재 BIOS에서 SSD가 인식되지 않고, 블루스크린 오류 코드 0xc000000e가 나타나고 있어 SSD의 물리적 손상 가능성도 의심되는 상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SD가 인식되지 않는 원인과 복구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현재 발생한 주요 문제 정리
1️⃣ BIOS에서 SSD가 아예 감지되지 않음
→ SATA 케이블을 HDD와 교체해도 SSD만 인식 안 됨
2️⃣ 가끔 블루스크린(오류 코드 0xc000000e) 발생
→ "필요한 장치에 액세스할 수 없음" 메시지 표시
3️⃣ SSD 물리적 손상 가능성
→ 가상 메모리 설정 후 SSD에 과부하가 발생했을 가능성
🔍 SSD가 인식되지 않는 원인
1️⃣ SSD의 논리적 오류 (파일 시스템 손상)
- 가상 메모리 설정 변경 과정에서 SSD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었을 가능성
- 이 경우, 다른 PC에 연결하여 데이터 복구 시도 가능
2️⃣ SSD 물리적 고장 (컨트롤러, 낸드 플래시 문제)
- 갑자기 BIOS에서 인식이 안 되는 경우, SSD의 컨트롤러 칩이 손상되었을 가능성
- SSD 수명이 다 됐거나, 가상 메모리 설정으로 인해 과부하가 발생해 손상됐을 수도 있음
3️⃣ SATA 포트 또는 케이블 문제
- HDD는 정상적으로 인식되므로 가능성은 낮지만, 특정 포트에서만 SSD가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음
- SATA 포트를 변경하거나 다른 PC에서 테스트해볼 필요 있음
🔧 SSD 복구 및 해결 방법
1️⃣ BIOS에서 SSD 인식 여부 확인하기
- BIOS에서 SSD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아래 방법 시도
- PC를 끄고 SATA 포트를 변경하거나 다른 SATA 케이블로 교체
- SSD를 다른 PC에 연결하여 인식 여부 확인
✅ BIOS에서 SSD가 인식되면? → 윈도우 복구 시도 가능
❌ 여전히 인식되지 않으면? → SSD 물리적 고장 가능성 높음
2️⃣ 다른 PC에 연결하여 SSD 상태 확인
- SSD를 외장 어댑터(USB to SATA 변환기) 또는 다른 데스크탑의 SATA 포트에 연결
- Windows에서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 실행 (
Win + X
→ "디스크 관리") - SSD가 표시되는지 확인
- 표시되지만 "RAW" 상태라면 파티션이 손상된 것 → 포맷 후 사용 가능
- 아예 인식이 안 되면 SSD 물리적 고장 가능성 높음
✅ 디스크 관리에서 SSD가 보이면? → 데이터 복구 후 포맷
❌ 아예 보이지 않으면? → 다음 단계 진행
3️⃣ Windows 복구 모드에서 SSD 복구 시도
BIOS에서 SSD가 인식되지만, 부팅이 안 되는 경우 Windows 복구 모드에서 복구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설치 USB 만들기
- 다른 PC에서 Microsoft 공식 사이트에서 Windows 설치 USB 생성
- BIOS에서 USB 부팅 설정 후 복구 모드 실행
- PC 부팅 시
F8
또는F12
눌러 부팅 메뉴 진입 후 USB 선택 - "컴퓨터 복구" 선택 → 명령 프롬프트 실행 (
Shift + F10
)
- PC 부팅 시
- SSD 검사 및 복구 실행
chkdsk C: /f /r /x
- C: 대신 SSD 드라이브 문자를 입력
- 오류가 있으면 자동으로 복구 시도
✅ 오류가 복구되면? → 정상 부팅 가능
❌ 오류가 해결되지 않거나 드라이브가 안 보이면? → SSD 물리적 고장 가능성 높음
4️⃣ SSD 펌웨어 업데이트 및 초기화
일부 SSD는 펌웨어 문제로 인해 인식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제조사별 SSD 툴 사용
- 삼성: Samsung Magician
- WD: WD Dashboard
- 크루셜: Crucial Storage Executive
- SSD가 인식된다면 펌웨어 업데이트 후 재부팅
- 여전히 인식되지 않는다면 Secure Erase(공장 초기화) 진행
✅ 펌웨어 업데이트 후 정상 작동하면? → 부팅 후 데이터 복구
❌ 여전히 인식이 안 되면? → SSD 교체 고려
5️⃣ SSD가 완전히 고장났다면?
- 위 모든 방법을 시도했는데 SSD가 BIOS에서도 감지되지 않는다면, 물리적으로 손상된 가능성이 큼
- SSD를 AS 센터에 보내거나 새 SSD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
- 데이터 복구가 필요하다면 전문 복구 업체(예: 데이터 세이브, 한국데이터복구센터)에 의뢰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가상 메모리를 설정했다고 SSD가 고장날 수 있나요?
👉 일반적으로 가상 메모리 설정만으로 SSD가 고장 나지는 않습니다.
👉 하지만 오래된 SSD나 수명이 거의 다 된 SSD는 가상 메모리 설정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려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Q2. BIOS에서 SSD가 안 뜨면 무조건 고장인가요?
👉 SATA 포트/케이블 문제일 수도 있으니 다른 포트에 연결해 보세요.
👉 다른 PC에서도 인식되지 않으면 SSD 자체 문제일 가능성이 높음.
🔹 Q3. SSD가 고장났는데 데이터 복구 가능할까요?
👉 논리적 손상(RAW 상태, 파일 시스템 오류 등)이면 복구 프로그램으로 복구 가능
👉 물리적 고장(컨트롤러 불량, 칩 손상 등)이면 전문 복구 업체에 의뢰해야 함
🎯 결론: SSD 복구 가능할까?
상태 | 해결 가능 여부 | 해결 방법 |
---|---|---|
BIOS에서 SSD 인식됨 | ✅ 가능 | Windows 복구 모드 실행 (chkdsk , 부팅 복구) |
디스크 관리에서 SSD 인식됨 | ✅ 가능 | 포맷 후 데이터 복구 |
다른 PC에서도 SSD 미인식 | ❌ 어려움 | SSD 고장, 데이터 복구 전문 업체 의뢰 |
펌웨어 업데이트 후 인식됨 | ✅ 가능 | 부팅 후 데이터 백업 진행 |
📌 가장 먼저 해야 할 것:
✅ 다른 PC에서 SSD가 인식되는지 확인
✅ Windows 복구 USB로 부팅하여 SSD 검사 (chkdsk
)
✅ 인식되지 않는다면 펌웨어 업데이트 시도
❌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 SSD 고장 가능성이 높아 교체 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