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모뎀 → 라우터(공유기) → 스위치 허브 순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하시고,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허브에 연결하려고 하시는군요. 그런데 NAS를 허브에 연결해도 메인 PC에서 접속이 가능할지 궁금하시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홈 네트워크에서 NAS를 어디에 연결해야 하는지, 메인 PC에서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1. 기본 네트워크 구성
질문하신 네트워크 구조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인터넷 → 모뎀 → 라우터(공유기) → 스위치 허브 → NAS
↘ 메인 PC
- 모뎀: 인터넷 제공업체(ISP)에서 제공하는 장비
- 라우터(공유기): 네트워크 주소 할당(DHCP) 및 인터넷 공유
- 스위치 허브: 여러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
- NAS: 파일 저장 및 공유용 네트워크 스토리지
📌 2. NAS를 허브에 연결해도 메인 PC에서 접속 가능할까?
✔️ 네, 가능합니다!
📌 조건: 허브가 라우터(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 스위치 허브는 기본적으로 단순하게 장비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허브가 라우터(공유기) 아래에 연결되어 있다면, NAS와 메인 PC는 같은 네트워크(IP 대역대)를 사용하게 됩니다.
- 따라서 메인 PC가 라우터(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어도, NAS가 허브에 연결되어 있어도 서로 통신 가능합니다.
✔ 확인 방법:
- NAS의 IP 주소 확인 (보통 라우터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메인 PC에서 NAS의 IP 주소(예:
192.168.1.100
등)로 접속- Windows: 파일 탐색기 →
\\192.168.1.100
입력 - Mac: Finder →
smb://192.168.1.100
입력
- Windows: 파일 탐색기 →
📌 3. NAS는 라우터에 연결해야 할까? (스위치 허브에 연결하면 안 되나?)
✅ 스위치 허브에 연결해도 OK!
- 허브가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내에 있다면 NAS를 허브에 연결해도 문제 없음
- 메인 PC는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어도 NAS를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음
- 속도는 NAS와 메인 PC가 기가비트(1Gbps) 유선 연결인지 확인 필요
🚨 단, 허브가 인터넷과 분리된 별도의 네트워크일 경우 문제 발생
만약 허브가 라우터와 별개의 네트워크로 설정된 경우, NAS가 메인 PC와 다른 네트워크(IP 대역대)에 속하게 되므로 접속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허브를 반드시 라우터(공유기)에 연결하여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세요.
📌 4. 네트워크 구성에 따른 NAS 연결 방식 비교
네트워크 구성 | NAS 연결 가능 여부 |
---|---|
라우터(공유기) → NAS (직접 연결) | ✅ 가능 (추천) |
라우터(공유기) → 스위치 허브 → NAS | ✅ 가능 (동일 네트워크라면 문제 없음) |
모뎀 → 스위치 허브 → NAS | ❌ 불가능 (라우터 없이 직접 연결하면 IP 할당 안 됨) |
라우터(공유기) → NAS & 메인 PC 같은 네트워크 | ✅ 가능 |
라우터(공유기) → NAS (다른 서브넷에 연결됨) | ❌ 불가능 (IP 대역이 다르면 접속 어려움) |
📌 결론: NAS는 스위치 허브에 연결해도 메인 PC에서 정상적으로 접속 가능합니다. 단, 반드시 허브가 라우터(공유기)와 연결된 상태여야 합니다.
📌 5. NAS 접속이 안 될 때 해결 방법
혹시 NAS를 허브에 연결했는데도 메인 PC에서 인식이 안 된다면 아래 방법을 확인하세요.
✅ 1) NAS의 IP 주소 확인하기
- 라우터(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NAS가 정상적으로 IP를 할당받았는지 확인
- 예:
192.168.1.xxx
형태의 IP를 가져야 함
✅ 2) 공유 설정 & 방화벽 확인
- Windows 방화벽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공유 활성화
- NAS에서 SMB 또는 NFS 프로토콜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
✅ 3)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 시도
- Windows 파일 탐색기 실행
- 주소 창에
\\NAS_IP주소
입력 (예:\\192.168.1.100
) - 정상적으로 접근되면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추가 가능
✅ 4) 허브와 공유기 연결 확인
- 허브가 라우터(공유기)와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 허브가 단순 스위치인지, 관리형 스위치인지 확인 (VLAN 설정이 되어 있다면 접속 불가할 수도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NAS를 무조건 라우터에 연결해야 하나요?
A. 아니요. 라우터(공유기)에 연결된 허브에 NAS를 연결해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Q2. NAS가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데 메인 PC에서 보이지 않아요.
A. NAS가 올바르게 IP 주소를 받았는지 확인하고, Windows 방화벽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설정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Q3. NAS를 더 빠르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기가비트(1Gbps) 이상의 속도를 지원하는 고성능 스위치 허브와 CAT6 이상 랜 케이블을 사용하세요.
Q4. 공유기가 DHCP 서버를 작동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 라우터(공유기)가 DHCP 서버 역할을 하지 않으면 NAS가 IP를 할당받지 못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수동으로 IP를 설정하거나 DHCP 기능을 활성화하세요.
📌 결론 – NAS는 허브에 연결해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
✅ NAS를 허브에 연결해도 메인 PC에서 정상적으로 접속 가능
✅ 단, 허브가 반드시 라우터(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함
✅ NAS의 IP 주소 확인 후, 방화벽 & 공유 설정 점검
✅ 최대 속도를 원한다면 기가비트 허브 & CAT6 이상 랜 케이블 사용 추천
이제 NAS를 적절하게 연결하여 홈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성해보세요!
댓글